Real Time PCR 의 원리와 Amplication, Melting curve 차이점 확인하기
■ 기본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진행과정
Step 1 : Denaturation (변성)
- 온도 : 약 94 ~ 98℃
- DNA 이중가닥이 열려서 두개의 단일 가닥 (single stranded DNA)으로 분리됩니다.
Step2 : Annealing (접합)
- 온도 : 약 50 ~ 65℃
- 설계한 프라이머 (Primer)가 각각의 단일 가닥 DNA에 결합합니다.
Step3 : Extension (연장)
- 온도 : 약 68 ~75℃
- DNA polymerase 효소가 프라이머에 결합된 자리부터 새로운 DNA 가닥을 복제해 나갑니다.
이 3던계를 한번의 cycle 이라고 하고, 보통 30 ~40 cycle을 반복하여 수백만 배로 DNA 증폭을 진행합니다.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은 원하는 DNA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 할 수 있는 Primer (프라이머)를 설계하여, 특정 DNA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기술 입니다. 초기에는 아주 소량의 DNA만 있어도, cycle 수를 늘림으로써 수백만 배 이상으로 증폭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실험에 필요한 DNA의 양을 빠르게 확보 할 수 있습니다.
■ Real Time PCR 이란 ?
Real Time PCR 은 일반 PCR 과 기본 원리는 같지만, 추가로 " DNA가 증폭되는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 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 합니다.
Real Time PCR 의 주요 특징
1. 형광 물질 ( Fluorescent dye 또는 probe) 사용
- 증폭되는 DNA 양에 비례하여 형광 신호가 강해집니다.
- 대표적인 방법 : SYBR Green (이중가닥 DNA가 결합하는 형광 증가)
- TaqMan Probe (특정 서열이 결합하는 형광 프로브 사용)
2. 증폭 곡선 (Amplication Curve) 분석
- 사이클 수 (cycle number)에 따라 형광이 증가하는 모습을 그래프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Ct값 (cycle threshold) : 형광 신호가 특정 기준치를 넘는 사이클 수 ---> DNA 양을 정량할 때 사용
3. 멜팅 커브 (Melting Curve) 분석
- 증폭이 끝난 뒤, DNA 의 순도와 비특이적 증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온도를 서서히 올려가며 이중가닥 DNA 가
풀리는 특성을 분석
- 추가 검증을 통해 PCR 산물의 정확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Melting Curve 와 Derivative Curve의 차이
- Melting Curve (Raw) : 온도에 따라 형광 감소를 직접 그린 곡선
- Derivative Curve (-dF/dT) : 형광 감소 속도 (=변화율)을 계산해 피크 형태로 나타냄
★ Amplication Curve 를 보는 이유
1. DNA 증폭이 정상적으로 일어 났는지 확인
- 초기에는 fluorescence (형광)이 거의 없다가, 증폭이 진행되면서 형광 신호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 S자형 (Sigmodial) 곡선이 나타나야 정상적인 증폭이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만약 신호가 거의 오르지 않거나 이상한 형태라면, PCR 반응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문제 발생의 대표적 이유 : 프라이머 (primer) 문제, 시약 문제
2. Ct값 (cycle threshold) 확인
- 증폭 곡선이 상승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Ct(Cg)값을 얻습니다.
- Ct값은 " DNA가 얼마나 빨리 검출 되었는가 " 를 나타내는데, 이는 초기 DNA 양을 반영합니다
ex) Ct값이 낮다 → 시작할 때 DNA가 많았다
Ct 값이 높다 → 시작할 때 DNA 가 적었다
3. 샘플 간 비교 및 정량 분석
- 여러 샘플의 Ct 값을 비교해서
(1) 유전자 발현양 비교
(2) 감염여부 확인
(3) 돌연변이 검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표준 곡선 (standard curve)을 이용하면 절대 정량 (Absolute quantification)도 가능합니다.
4. 실험 오류 및 오염 여부 판별
- 비정상적인 Amplication curve (예, 비정상적으로 늦은 신호 상승, flat한 선 등)은 오염, 시약 문제, 세팅 오류를
의미 할 수 있습니다.
- No Template Control (NTC) 에서도 amplication 이 뜨면, 오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 Melting Curve 분석
1. 비특이적 증폭 여부 확인
- PCR 은 종종 원치 않는 비특이적 산물 (non-specific product) 이나 primer-drimer 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Melting curve 는 증폭 산물을 점진적으로 가열하면서 DNA 이중가닥이 풀리는 (=Denaturation) 온도를
측정합니다.
- 비특이적 산물은 주로 본래 목표한 DNA 보다 녹는 온도 (Tm, Melting temperature)가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산물은 특정 Tm에서 sharp 한 peak 를 형성하지만, 비특이적 산물이나 Primer-Dimer 는 다른
Tm에서 별도의 peak를 보이거나 board (흐릿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2. 목표 산물의 순도 확인
- Single sharp peak 가 보이면, 하나의 특정한 PCR 산물만 증폭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여러개의 peak 가 보이며, 여러 가지 다른 DNA 조각들도 같이 증폭 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3. Primer - Dimer 검출
- Primer-Dimer 는 매우 짧은 DNA 조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Tm이 낮은 곳에 별도 peak 를 나타납니다.
- 이를 통해 실험 오류나 최적화가 필요한지 판단 할 수 있습니다.
4. qPCR 결과의 신뢰성 검증
- Real-Time PCR 결과 (증폭곡선)만으로는 특정성 (Specificity) 을 알 수 없습니다.
- Melting curve 분석을 통해 정확한 증폭이 이루어 졌는지 확인함으로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즉, Melting Curve 를 보는 것은 " qPCR 결과가 정확한지 검증하기 위해서 " 라는 필수 과정입니다.
★ Real Time PCR 에서 형광을 감지하는 지점 요약
■ Amplication Curve
1. 증폭되는 이중가닥 DNA의 양에 비례해 형광이 증가합니다.
2. 이는 대부분 extention 온도 (72℃) 혹은 그 직후의 short hold 구간에서 측정됩니다
3. 형광은 각 cycle 마다 1번씩 측정되며, 이를 쌓아서 증폭곡선 (amplication curve)를 만듭니다.
■ Melting Cuve
1. PCR 종류 후, 별도 과정에서 진행됩니다.
2. 온도를 60℃ 에서 90℃로 천천히 상승 시키면 이중 가닥 DNA가 열에 의해서 풀리면 SYBR Green 같은
형광염료가 떨어져 나가며 형광이 급감합니다
3. 형광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는 온도를 기준으로 Melting Temperature (Tm) 값을 구합니다.
★ 바이오앤드에서 제안 드리는 Real Time PCR 시스템
■ EsanGene 696 : 96well 기반의 6 channel Real Time PCR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눌러 주세요 !!
https://www.bioand.co.kr/esangene696
Esan-Gene 696 Real Time PCR
96 well, 6 Channel로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분석에 활용이 가능한 Real Time PCR
www.bioand.co.kr
■ Esan Gene 164 : 16 well 기반의 4 channel Real Time PCR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눌러 주세요 !!
https://www.bioand.co.kr/esan-gene164
Esan-Gene 164 Real Time PCR
16 well, 4 Channel로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분석에 활용이 가능한 Real Time PCR
www.bioand.co.kr
두 모델 모두 정확한 증폭 그리고 Melting Curve 분석이 가능합니다.
제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하단의 연락처 혹은 이메일로 문의를 주시면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실험 환경에 적합한 장비 상담과 제품 데모 요청도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감사합니다.